본문 바로가기

KOSTA

(50)
KOSTA 교육(HTML, Tag, div, ol, ul, li, head, meta, body, form, h, input, type) 배운 내용 HTML Tag 1. HTML HTML은?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서 1990년대 이후 웹에서 사용되는 문서 양식이다. 화면의 뼈대가 되는 구조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HTML의 역사 HTML 역사 HTML 문서구조 문서구조 은 HTML버전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화면에는 보이지 않는다.) 는 문서의 내용을 표시한다. Web & HTML의 구동원리 구동원리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HTML로 전송한다. 서버는 결과값을 전송 후 클라이언트와 접속을 끊는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HTML을 웹브라우저에서 표시한다. 각 웹브라우저는 브라우저 엔진이 내장되어 있고, 이 엔진이 태그를 해석하..
KOSTA 교육 (데이터 모델링, 엔티티 타입, 정규화) 배운 내용 데이터 모델링 엔티티타입 정규화 1. 데이터모델링 데이터모델링은?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또는 업무가 필요로 하는 정보는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방법 모델링의 세가지 관점 데이터 관점 :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또는 데이터간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모델링 하는 방법 프로세스 관점 : 업무에서 실제 하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모델링 하는 방법 상관 관점 :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모델링 하는 방법 2. 엔티티타입 엔티티타입은?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단위 엔티티타입은 엔티티의 집합이다. 엔티티타입 예시 엔티티 타입의 특징 첫 번째..
KOSTA 교육 (PL/SQL, 제어문, 반복문, EXCEPTION, CURSOR, PROCEDURE) 배운 내용 PL/SQL 제어문 반복문 EXCEPTION(예외) CURSOR(커서) PROCEDURE(프로시저) 1. PL/SQL 이미 개념을 학습한 부분으로 처음부터 보고싶다면 24일차 부터 참고. 오늘은 이어서 학습하도록 하겠다. 데이터유형에는 기본데이터 타입, 레퍼런스 타입 둘로 나뉜다. 기본데이터는 평소에 사용하던 VARCHAR2(), NUMBER 등이 있겠고, 레퍼런스형은 변수명 테이블명.칼럼명 % TYPE, ROWTYPE 등이 있다. TYPE은 테이블에 있는 하나의 컬럼명을 담고 있으며 ROWTYPE은 테이블을 담고 있는 데이터타입이다. 미션 1 사원의 이름과, 이메일을 출력하려면 해당 출력대상의 테이블에 있는 칼럼을 가져와야한다, 때문에 TYPE으로 가져와 변수를 입력하고 조건은 201번사원으..
KOSTA 교육 (JOIN, 다중 컬럼, 다중 로우, FROM절 서브쿼리, INDEX, VIEW, SEQUENCE, PL/SQL) 배운 내용 다중 컬럼, 다중 로우 FROM절 서브쿼리 INDEX VIEW SEQUENCE PL/SQL 1. 다중 컬럼, 다중 로우 서브쿼리 다중 컬럼, 다중 로우 서브쿼리는? 하나 이상의 행을 반환하는 서브쿼리를 말한다. 단일 행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고 다중 행 연산만 사용 가능하다. IN : 검색된 값 중에 하나만 일치하면 참 ANY : 검색된 값 중에 조건에 맞는 것이 하나 있으면 참 ALL : 검색된 값과 조건이 모두 일치해야 참 컬럼 > ALL(서브쿼리) -> 컬럼 > MAX : 가장 큰값 보다 크다 컬럼 컬럼 > MIN : 가장 작은값 보다 작다 컬럼 > ANY(서브쿼리) -> 컬럼 > MIN : 가장 작은값 보다 크다 컬럼 컬럼 > MAX..
KOSTA 교육(HAVING, 함수, DDL, DML, 제약조건) 배운 내용 HAVING절 함수 DDL DML 제약조건 1. HAVING절 HAVING은? 전체 그룹에서 일부의 그룹만 추출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GROUP BY와 함께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뒤에 사용된다. WHERE 절은 전체 데이터를 GROUP으로 나누기 전에 행들을 미리 제거시킨다. department_id라는 그룹들을 HAVING절로 함수에 대한 조건을 제시한다. 월급의 평균이 5000 이하일 경우를 출력하게 된다. 평균을 2번째 ROUND함수를 이용해 소숫점에서 반올림을 하여 출력하려 한다. 여기서 화학과를 제외하기 위하여 HAVING에 !를 선언하여 출력한다. 2. 함수 함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고 특정 연산을 처리해주는 것을 말한다. 종류별, 용도별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자주사용되는..
KOSTA 교육 (Algorithm, 알고리즘, JSON, 라이브러리) 배운 내용 알고리즘 JSON 라이브러리 mini 프로젝트 1. algorithm(알고리즘) algorithm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이나 절차.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모든 언어에서 사용 되지만 자바를 사용하여 체험학습 의미로 어제에 이어서 예제를 풀어보자 t가 1보다 크고 50보다 작아야 하기 때문에 t를 if문에 조건으로 선언하고 참이면 break로 끝낸다. long타입으로 배열을 선언하여 더 큰 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inputs배열을 2개를 선언하여 값 2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split을 이용하여 공백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a[i]는 inputs[0]으로 b[i]는 inputs[1]로 선언해준다. 이때 Long타입으로 String으로 변환해준다. 문제..
KOSTA 교육(알고리즘, 자료구조) 배운 내용 알고리즘 1. algorithm(알고리즘) algorithm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이나 절차.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모든 언어에서 사용 되지만 자바를 사용하여 체험학습 의미로 예제를 풀어보자 위의 예제는 배열의 요소 수를 입력하고 각 배열의 값을 입력한 후에 검색하여 해당 값을 호출하는 예제이다. seqSearch메소드의 파라미터 값을 선언한다. int i = 0을 선언하여 인덱스 값을 선언 while문을 통하여 반복하고 i와 배열 n이 같다면 검색을 실패하고 배열과 검색값이 같다면 검색이 성공할 수 있도록 선언한다. 이번 예제는 중앙값을 두어 중앙값보다 작거나 크다면 그 나머지 값을 버려서 효율적인 계산을 하는 예제이다. 이런 계산을 하려면 처음과 끝을 알아야 하..
KOSTA 교육 (File, Thread) 배운 내용 File Class Thread 1. File Class 파일클래스는? 파일 자체를 관리하는 클래스로서 파일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파일클래스의 메소드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파일정보를 가져오는 메소드, 정보를 수정하는 메소드, 생성 및 삭제하는 메소드 마지막으로 디렉토리 관리가 있다. 사용하는 이유 : File을 객체화하여 그 파일을 활용하기 위함 예시를 참고하여 메소드의 활용을 알아보자 여기서 예제를 http://hyeonstorage.tistory.com/233 페이지에서 잘 정리해주고 있어 참고하여 예제를 활용하였다. 먼저 “.” 을 경로로 가진 File 객체를 생성한다. 생성은 new로 동일하게 생성한다. file.exists()로 존재를 알 수 있다. getName()으로 ..
KOSTA 교육 (ArrayList, Sort, Comparable, Comparator, 입출력, Stream) 배운 내용 ArrayList Sort Stream 1. ArrayList Sort(배열 정렬) 배열 정렬은? 배열 내의 포함된 요소들을 정렬시키는 것이다. 대부분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렬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ArrayList에 담아서 사용하므로 ArrayList 자체를 정렬할 일이 잘 없지만 ]가끔씩 리스트를 직접 정렬해야 할일이 생긴다. 정렬하는데에는 Collections.sort(); 메소드를 사용한다. Comparable : 최초 정렬기준 된 내용을 작성한다. compareTo()를 오버라이딩한다. Comparator : 정렬된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한다. compare()을 오버라이딩한다. 뽑은 로또의 숫자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실습을 해보자 Main클래스에서 랜덤 값을 출력하기 위하여 Ran..
KOSTA 교육 (정규표현식, 자료구조, ArrayList, Stack, Hashmap, Queue) 배운 내용 정규표현식 ArrayList, LinkedList Stack Queue Hash(Map) 1. 정규표현식 정규표현식은 어제에 이어 조금 더 심화된 예제를 통하여 학습 하려한다. 만약 개념이 부족하면 12일차에 개념이 있으니 참고하고 학습하면 되겠다. data배열 안에있는 값들을 Pattern클래스를 통하여 패턴을 생성한다. 이 때 Pattern.compile();을 통하여 패턴을 생성한다. 다음 이 배열을 출력하기 위하여 for문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Matcher클래스를 사용하여 패턴을 검색하고 객체를 반환한다. 만약 맞는다면 맞는 배열값을 출력한다. source와 pattern값을 선언하고 pattern을 컴파일하여 패턴을 생성한다. 생성한 패턴을 matcher로 이용하여 패턴을 검색하고 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