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STA

KOSTA 교육(HTML, Tag, div, ol, ul, li, head, meta, body, form, h, input, type)

 배운 내용

  1. HTML
  2. Tag

 

1. HTML

HTML은?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서 1990년대 이후 웹에서 사용되는 문서 양식이다. 화면의 뼈대가 되는 구조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HTML의 역사

HTML 역사

HTML 문서구조

문서구조

  • <DOCTYPE>은 HTML버전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 <head>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화면에는 보이지 않는다.)
  • <body>는 문서의 내용을 표시한다.

Web & HTML의 구동원리

구동원리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HTML로 전송한다.
  • 서버는 결과값을 전송 후 클라이언트와 접속을 끊는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HTML을 웹브라우저에서 표시한다.
  • 각 웹브라우저는 브라우저 엔진이 내장되어 있고, 이 엔진이 태그를 해석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2. Tag(태그)

태그는?
HTML 문서의 구조와 의미를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의미를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로 쌍을 이루며 중첩되지 않도록 한다.
  • 대소문자 구별이 없다.

Tag(태그) 예시

Tag의 종류와 역할

<head>

head 예시

  •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 직접적인 화면에 정보는 출력되지 않는 부분이다.
  • <title>[타이틀 제목 입력]</title>
  • <meta>는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body>, <h1~6>, <div>, 블록레벨, 인라인레벨

<body>, <h1~5>, <div> 예제

  • <body>는 문서의 내용을 표시하는 태그이다.
  • <h1~h6>는 글자의 크기를 나타내준다.
    숫자가 커질수록 크기가 커진다.
  • 블록요소 : 블록형식으로 줄 바꿈이 일어나며 너비가 전체 너비만큼 되는 형태이다.
    종류는 h, div, ul, ol, li, p가 있다.
  • 인라인요소 : 인라인형식으로 줄 바꿈이 일어나지 않는 요소가 있다.
    종류는 a, img, span이 있다.

<ul>, <ol>, <li>,<a>

<ul>문 예시

  • <ul>문은 순서가 표시된다.

<ul>문의 결과

  • <ol>문은 순서가 표기되지 않는다.

<ol>문의 결과

  • <li>는 list를 감싼다는 뜻으로 <ol>과<ul>시 포함되는 태그이다.
  • <a>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네이버', ‘index’를 클릭하면 해당 링크로 들어가게 된다.

<form>, <input>

<form>, <input> 예시

  • <form>은 데이터들을 입력받고 서버에 액션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 <input>은 데이터를 받는 역할을 하며 type을 정해줄 수 있다.
  • name, class, id는 각 태그를 구별하기 위한 인자값인데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은 class, name을 사용하며 보통은 css에 해당되며
    부분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은 id를 사용하며 javaScript에 해당된다.
    보통은 공통적으로 class를 사용한다.
  • <input type = “type종류”>로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는 예시와 결과값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편할 것이다.

<form>, <input>, <type>종류 예시

  • <form>을 사용하여 액션이 가능하다.

<ol>을 이용하여 순서를 표시하였다.

<input type = “type 종류”>를 이용하여 각 타입별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