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로그인 후
인스턴스시작
들어와서 프리티어 중에서 지금은 18.04버전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따로 설정할 것 없이 검토 및 시작
여기서도 시작하기
키페어는 아이디, 비번을 대체 하는 나를 증명할 수 있는 어떤 파일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절대 밖으로 유출되면 안됨.)
그 다음 인스턴스 보기 클릭
/-----------------------------
종료하기(1년 후 자동결제 방지)
해당 인스턴스 체크 > 마우스 우클릭
인스턴스 중지 : 서버가 돌아가지는 않지만 최소한의 유지비로 유지
인스턴스 종료 : 서버 삭제
-----------------------/
/---------------
EC2 준비상식
SSH(Secure Shell Protocol)
- 다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쓰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것들 보다 보안이 상대적으로 뛰어납니다.
- 접속할 컴퓨터가 22번 포트가 열려있어야 접속 가능합니다. AWS EC2의 경우, 이미 22번 포트가 열려있습니다. 확인해보자
인스턴스 ID클릭
---------------/
이제 EC2에 접속해 보자
여기서 접속 방법은 mac에는 ssh가 내장되어있지만 window에는 없기 때문에 방법이 조금 다르다.
나는 윈도우니까 window를 기준으로 git bash를 이용해 접근 ~
우선 gitbah 실행해서 (ssh -i )를 적고 keypair.pem 파일을 드래그앤 드롭한다.
그다음 한칸 띄고 ubuntu@(우리가 구매한 EC2 의 IP) //나는 복붙이 안되서 직접 적었다...
Key fingerprint관련 메세시에 yes 하고 엔터를 하면
여기까지 진행하면 AWS EC2에 접속 (종료할때는 그냥 닫지 말고 꼭 exit 명령어 입력하여 ssh 접속을 먼저 끊어주기!)
끝----
( +@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 )
위 내용 감추기 : clear
디렉토리 만들기 (make directory) : mkdir (폴더명)
목록 보기(list) : ls
폴더 위치 이동(change directory) : cd (폴더명)
'배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붙이고 카카오톡에 공유해보기 (0) | 2020.12.13 |
---|---|
포트포워딩& nohup 적용하기 (0) | 2020.12.13 |
EC2 준비하고 배포하기 (0) | 2020.12.13 |
OG태그 작업하기 (0) | 2020.12.13 |
RDS 구매하고 MySQL 세팅하기 (0) | 2020.12.11 |